이번 인권위의 국제적 망신은 가깝게는 현병철 위원장의 임명 때부터, 멀게는 이명박 정부의 출범 때부터 예고돼 있었다고 할 수 있다. 현 위원장은 스스로도 인권 문외한이라고 토로할 만큼 인권위원장이라는 자리와 거리가 먼 사람이었다. 그런 인물을 대통령이 임명한 것은 한국 몫이었던 차기 ICC 위원장 자리를 스스로 걷어차 버린 것이나 다름없다. 아시아인권위도 지적했지만 현 정부는 출범 이후 줄기차게 인권위를 흔들며 조직을 축소하고 독립성을 훼손해 왔다. 급기야는 위원장이 대통령에게 업무보고 한 번 못했다며 중도사퇴하는 일까지 벌어졌다. 그러는 사이에 한때 인권 모범국가로 칭찬받던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한없이 구겨졌다. 이 정부가 줄곧 인권위를 무시해 온 데에는 이 기구에 대한 무지와 편견이 깔려 있다. 국가인권위는 이 정권이 일컫는 좌파 정권의 소산이 아니다. 1993년 유엔 총회의 결의에 부응하여 설립됐으며, 정권과 상관없이 존속돼야 할 기구이다. 15년 전만 해도 인권기구를 보유한 국가가 5~6개국에 불과했으나 오늘날 120여개국으로 급증했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 준다. 인권위를 축소하고 흔들어대는 것은 국제 추세에 대한 역주행이자 망발에 가깝다고 하겠다. 이처럼 제 얼굴에 먹칠하는 현 정부의 행태가 국제사회의 비웃음을 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. 그 비웃음의 대상은 인권위가 아니라 이 정부와 대통령이라는 것을 아직도 깨닫지 못하는가. |
[사설]인권위의 망신은 이 대통령의 망신이다
'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미네르바 박대성에게 ‘경제 실체’를 묻다 (0) | 2009.08.04 |
---|---|
광화문광장 기자회견 '피케팅' 강제 연행 (0) | 2009.08.04 |
[스크랩] 새 이사 벌써부터 ‘개입’ 공식화 (0) | 2009.08.03 |
[사설]방문진 수구 물갈이가 개혁인가 (0) | 2009.08.03 |
[사설]공안정권 본색 드러낸 시국선언 교사 탄압 (0) | 2009.08.03 |